연구활동

전체 27건

2024 논문

  • 노영은·류웅재 (2024. 11). 초국적 문화산업이 직조하는 한류의 문화정치: K-콘텐츠를 전유하는 글로벌 OTT 플랫폼과 혼종화 전략. <언론과 사회>, 32권 4호, 63-114.
     
  • 정현우·류웅재 (2024. 10). 기업 경영전략 담론으로 전유(專有)된 ESG : 정부와 지자체 정책보고서 및 신문 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. <사회과학담론과 정책>, 17권 2호, 1-34.
     
  • 박수연·류웅재 (2024. 7). 넷플릭스가 재현하는 ‘한국성’과 글로벌 K-콘텐츠의 다층적 함의 : 한국판 리메이크 콘텐츠의 사례를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 38권 4호, 119-154.
     
  • 류웅재·김민승 (2024. 6). 연남동 가는 청년들 : 문화산업이 재현하는 도시 공간에 관한 탐색적 연구. <인문논총>, 64권, 17-48.
     
  • 곽영신·류웅재 (2024. 5). ‘K-컬처’에 드러난 혼종적 근대성 : 글로벌 한류의 비동시적 문화정치와 그 정경들. <언론과 사회>, 32권 2호, 5-55.
     
  • 김민승·류웅재 (2024. 4). 미디어가 재현하는 맛집 탐방과 대중의 문화 실천 : 윌리엄즈의 감정구조와 하비의 공간이론을 중심으로. <사회과학연구>, 35권 2호, 99-124.
     
  • 박한진·류웅재 (2024. 2). 신도시 건설 과정에서 이전기관 종사자 갈등 사례에 관한 연구 :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와 경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. <지역과 커뮤니케이션>, 28권 1호, 38-71.
     
  • 이상진·류웅재 (2024. 1). 물질문화로서 음반 미디어 중간 판매상에 관한 문화연구 : 황학동 동묘시장 미디어 중간 판매상의 사례를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 38권 1호, 36-73.

2024 발표

  • 사지은 (2024.11.22). <IPTV 서비스 이용자의 유료 OTT 서비스의 전환의도 영향 요인 연구>. 한국미디어경영학회 2024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CJ인재원
     
  • 박소현 (2024.11.22), <국가가 형성하는 K-푸드 담론: 현대 한식 세계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>, 한국언론정보학회 2024 가을철 정기학술대회, 서울: 연세대학교.
     
  • 고영일·박진우 (2024.11.09).<기업의 전문성 및 신뢰성이 기업 관계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: 메타버스 후속 콘텐츠에 대한 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>, 한국방송학회 2024 가을철정기학술대회, 서울: 중앙대학교.
     
  • 사지은·김수연 (2024.05.24). <생성형 AI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: 챗지피티(ChatGPT)를 중심으로.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. 경주 : 힐튼호텔.
     
  • 티무이렝 (2024.05.24). <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시청동기가 지속시청의도 및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: 시청만족과 시청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. 경주 : 힐튼호텔.
     
  • 전현지·이자연 (2024.05.24). <분야별 팝업스토어 사례 및 소셜미디어를 통한 홍보 비교 연구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. 경주 : 힐튼호텔. 
     
  • 오인향·이자연 (2024.05.24). <미디어 리터러시가 사이버 사기 광고 회피 행동의 관계: 위험 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. 경주 : 힐튼호텔.
     
  • 손율이.이자연 (2024.05.24). <애니메이션과 실사 광고의 호감도에 즐김이 미치는 영향: 애니메이션에 대한 친숙함을 조절변수로>.  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봄철 정기학술대회. 경주 : 힐튼호텔
     
  • 조윤아 (2024.04.06). <버추얼 아이돌(virtual idol)의 특성이 대중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: 휴먼 아이돌 콘텐츠와의 비교를 중심으로>.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년 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성균관대학교.
     
  • 한상혁 (2024.04.06). <포스트힐링시대 청년세대의 여행소비문화: 미디어에 재현되는 여행과 제주여행소비를 중심으로>.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년 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성균관대학교.
     
  • 이유빈 (2024.04.06). <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재현되는 술: 청년세대의 과시적 여가와 기호 소비를 중심으로>.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년 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성균관대학교.

2023 논문

  • 노영은·류웅재 (2023. 12). ‘문화도시’ 광주가 재현하는 공간의 담론정치 : 경합하고 굴절되는 도시 담론. <한국언론학보>, 67권 6호, 115-152.
     
  • 김신영·류웅재 (2023. 10). 윤석열 정부가 활용하는 ‘자유’ 담론의 한계 : 대통령 연설문을 중심으로. <사회과학 담론과 정책>, 16권 2호, 87-116.
     
  • 김민승·류웅재 (2023. 10). 포스트모더니티 공간의 다의성과 사회문화적 함의: 스타필드 코엑스(COEX) 별마당 도서관을 중심으로. <한국언론정보학보>, 121호, 7-40.
     
  • 이해수·박만수·한동섭 (2023. 08). 메타버스 게임의 재개념화를 통한 이용과 충족 연구. <미디어 경제와 문화>, 21권 3호, 51-95. 
     
  • 나진희·류웅재 (2023. 04). 학벌과 출신 지역의 미디어 재현과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: 지역 청년과 지방대생의 취업 과정을 중심으로. <사회과학 담론과 정책>, 16권 1호, 1-34. 
     
  • 노영은·류웅재 (2023. 04). 로컬(local) 문화산업과 관리되는 도시공간 : 광주와 대전의 도시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. <사회과학연구논총>, 39권 1호, 5-45. 
     
  • 노영은·류웅재 (2023. 05).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: 역사 도시 수원과 전주의 사례를 중심으로. <인문사회과학연구>, 24권 2호, 319-360.
     
  • 이모란·이해수 (2023. 04). 혁신성향, 즐거움, 몰입이 메타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. <한국광고홍보학보>, 25권 2호, 156-185. 
     
  • 이해수·이모란 (2023. 03). 메타버스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. <한국방송학보>, 37권 2호, 154-190. 
     
  • Yi, J., Shin, J., Buchok, A., & Han, S. (2023). Student Research Participation in South Korea. PS: Political Science & Politics, 1-6. 
     
  • 김민승·류웅재 (2023. 02). 희망과 불안의 양가적 공간으로서의 도시: 포항 도시재생 사업을 중심으로. <글로벌문화콘텐츠>, 54호, 41-75. 
     
  • 김민승·류웅재 (2023. 02). 스펙터클 도시공간이 지배하는 현대 세계의 일상성(日常性) : 기업가적 도시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. <인문논총>, 60집, 85-119.

2023 발표

  • 박수연 (2023.08.16). <넷플릭스가 재현하는 '리메이크 K-콘텐츠'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: <종이의 집: 공동경제구역>과 <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>를 중심으로>. 제21회 문화연구캠프. 서울 : 링크업센터.
     
  • 정현우 (2023.08.16). <윤석열 정부의 위기관리 속 활용된 '자유' 담론: 대통령 취임사 및 신년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>. 제21회 2023 문화연구캠프. 서울 : 링크업센터.
     
  • 조윤아 (2023.05.27). <코로나 19(COVID-19) 상황 속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통한 질병 정보 확산이 이용자의 위험지각 및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>. 2023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. 전주 : 우석대학교.

2022 논문

  • 곽영신·류웅재 (2022. 12). 사회비판적 'K-콘텐츠'는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? : <스카이캐슬>, <기생충>, <오징어 게임>의 분열하는 기호들. <한국언론학보>, 66권 6호, 307-349.  
     
  • 이상진·류웅재 (2022. 10). 글로벌 팬데믹 하 물질문화로서 LP 구매 및 수집에 대한 비판적 문화연구. <사회과학연구논총>, 38권 2호, 5-48.
     
  • 사지은·이해수·한동섭 (2022. 09). 유료 OTT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: 유튜브 프리미엄(YouTube Premium) 서비스를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 36권 5호, 1-34.
     
  • 이해수·박만수·한동섭 (2022. 08). 소비자 개인적 특성에 따른 VR(Virtual Reality)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: 실재감(Presence)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. <미디어 경제와 문화> 20권 3호, 83-125.
     
  • 박장원·안동근 (2022.08). 대통령 의제로서 기부에 대한 신문 사설 연구 : 금 모으기와 긴급재난지원금 기부를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66권 4호, 5-38. 
     
  • 노영은·류웅재 (2022.08). 장소성과 로컬(local), 문화콘텐츠의 정치경제학 : 지역 문화산업으로서 광주비엔날레에 대한 비판적 연구. <글로벌문화콘텐츠>, 52호, 1-31.
     
  • 김민승·류웅재 (2022.08). 대중문화 콘텐츠가 재현하는 지역과 청년들 : 드라마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. <언론과 사회>, 30권 3호, 42-92. 
     
  • 당지아·류웅재 (2022.06).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: 디즈니 실사영화 〈MuLan〉의 사례. <영상문화콘텐츠연구>, 26호, 35-71. 
     
  • 김천웅ㆍ박만수. (2022. 05). 미디어 콘텐츠 시청과 대인커뮤니케이션이 조기연애 인식형성에 미치는 영향: 중국동포 청소년을 중심으로. <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>, 23(5), 881-891.
     
  • 이모란·이해수 (2022. 05).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: 기업 평판과 정보원 유형을 중심으로. <미디어 경제와 문화>, 20권 2호, 7-41.
     
  • 윤설화ㆍ박만수. (2022. 02).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기술을 활용한 광고 콘텐츠 분석과 이용자 인식 연구 : 유튜브 <아오르비(AORB)>를 중심으로. <미디어 경제와 문화>, 20(1), 7-49.

2022 발표

  • 박한진 (2022.11.19). <신도시 건설과정에서 이전기관 종사자 갈등 사례연구 : 행정중심 복합도시 세종시를 중심으로>.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한양대학교 사회과학관.
     
  • 김민승 (2022.08.23). <새로운 공간 속 소외된 소시민들 : 광주광역시 광천동과 부산광역시 초량동을 중심으로>. 한국언론학회 2022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부산 :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미래관.
     
  • 노영은 (2022.08.23). <자본으로서의 공간과 로컬의 문화사업, 재편되는 공간 담론 : 지역 문화콘텐츠로서 광주와 대전의 공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>. 한국언론학회 2022 전국대학원생 컨퍼런스. 부산 :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미래관.
     
  • 임수경 (2022.08.23). <서울 지역 청년들의 마을미디어 실천 담론 연구 : 노원유쓰캐스트를 중심으로>. 한국언론학회 2022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부산 :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미래관.
     
  • 박수연 (2022.08.11). <'집방 포맷의 관찰 예능 프로그램'이 재현하는 '집'과 그 의미에 대한 고찰 : MBC 예능 프로그램 '나 혼자 산다'와 청년세대를 중심으로>.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캠프. 서울 :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.
     
  • 정현우 (2022.08.11). <'여성가족부 폐지' 담론 : 푸코의 통치성, 권력/지식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담론 분석>.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캠프. 서울 :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.
     
  • 김은영 (2022.07.06). <버거킹 브랜드의 밈 광고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: 그레마스의 행동자모델을 중심으로>. 2022 한국광고학회 글로벌 콜로키움 및 학문후속세대 연구역량 강화 심포지움. 속초 : 롯데리조트.
     
  • 이유빈 (2022.06.17). <미디어에 재현되는 청년세대의 음주문화 : 타자 지향적 소비와 자기 통치 수단으로서의 소비를 중심으로>. 한국소통학회 2022 봄철정기학술대회. 서울 : 프란치스코 교육회관.
     
  • 조윤아·김은영 (2022.05.20). <오리지널 콘텐츠 이용 동기가 OTT 서비스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: 해외 OTT 서비스(넷플릭스, 디즈니+, 애플TV+)를 중심으로>. 2022 한국광고PR실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. 군산 : 군산대학교.
     
  • 성재훈 (2022.05.20). <음식 배달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발생하는 정보 과부하가 소비자의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>. 2022 한국광고PR실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. 군산 : 군산대학교.
     
  • 강민지·박만수 (2022. 05. 20). <메타버스 이용자들의 인지된 친밀감이 경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>. 2022 한국광고PR실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. 군산 : 군산대학교.
     
  • 박진우·박만수 (2022. 05. 20). <정부의 정책 이슈별 소통에 대한 평가 : 원자력과 언론보도, 그리고 커뮤니케이션>. 2022 한국광고PR실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. 군산 : 군산대학교.
     
  • 강한나·박만수 (2022.04.22). <글로벌 OTT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과 K-콘텐츠 분석>. 한국방송학회 2022 봄철 정기학술대회. 제주 : 제주대학교.

2021 발표

  • 노영은 (2021.08.27). <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재현된 자기 통치 공간으로서의 서울 : 기능하는 도시의 이미지와 현실, 객체가 된 청년들>. 한국언론학회 2021 전국대학원생 컨퍼런스.
     
  • 김민승 (2021.08.27). <드라마에 재현된 비수도권 청년들의 정체성 : 로컬리티와 관계성을 중심으로>. 한국언론학회 2021 전국대학원생 컨퍼런스.
     
  • 곽영신 (2021.08.27). <불평등 사회 속 공정 담론의 다차원성 : 청년 공정 관련 신문사설에 대한 비판적담론분석>. 한국언론학회 2021 전국대학원생 컨퍼런스. 서울 : 한국프레스센터.
     
  • 김태현 (2021.08.25). <온택트 사회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변화 분석 : <클럽하우스>를 중심으로>. 한국문화연구학회 2021 문화연구캠프. 서울 : 을지로 그레이프라운지.
     
  • 나진희 (2021.08.25). <미디어에서 재현되는 학벌 사회와 청년세대의 감정구조 : 명문대와 지방대 출신 취업 준비생을 중심으로>. 한국문화연구학회 2021 문화연구캠프. 서울 : 을지로 그레이프라운지.
     
  • 김은영·김하늘 (2021.05.29). <'부캐' 유튜버의 특성이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: 몰입,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>. 2021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. 광주 : 조선대학교.

2020 논문

  • 노영은·류웅재 (2020.06). 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-'외국인 리액션' 콘텐츠를 중심으로-. <영상문화콘텐츠연구>, 20권, 7-38.
     
  • 박만수·김천웅·한동섭 (2020.05). 4차 산업혁명 시대, 구글 알파벳의 대응 전략 분석 : 자원기반 이론(Resource-Based Theory)을 중심으로. <미디어 경제와 문화>, 18권 2호, 49-85.
     
  • 이모란·이해수·한동섭 (2020.05). 제품의 부정적 정보에 대한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반응 행동 연구 기업 명성과 접촉 매체 유형(포털 사이트, 페이스북)을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64권 2호, 7-45.
     
  • 박희봉·한동섭 (2020.04). 범죄보도에서 알 권리와 인격권의 조화 -수사공보규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-. <언론과 법>, 19권 1호, 97-145.
     
  • 딩종리·류웅재 (2020.03). 중국 청년세대의 토크쇼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: 〈강연합시다〉와 〈기파설〉을 중심으로. <문화와 정치>, 7권 1호, 5-40.
     
  • 박희봉·한동섭 (2020.03). 한국의 공영방송 연구 30년: 1989년~2019년 국내 17개 학술지 메타 분석을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 31권 1호, 114-151.
     
  • 박희봉·이해수·한동섭 (2020.03). 넷플릭스(Netflix)의 지각된 서비스 속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: 서비스 융합에 따른 핵심 가치사슬 변인 검증을 중심으로. <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>, 37권 1호, 5-46.

2020 발표

  • 노영은 (2020. 07. 04). <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-'외국인 리액션' 콘텐츠를 중심으로->. 한국언론학회 2020 봄철 정기학술대회.
     
  • 김천웅(2020. 06. 19). <중국 노동운동의 선택적 보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고찰>. 한국방송학회 2020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: BPEX.
     
  • 이연수 (2020. 06. 19). <일본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보도 분석 : '조선일보', '중앙일보', '경향신문', '한겨레' 사설을 중심으로>. 한국방송학회 2020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 : BPEX.
     
  • 윤설화(2020. 06. 19). <유튜브 플랫폼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형 광고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: 광고 '아오르비(AORB)'를 중심으로>. 한국방송학회 2020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 : BPEX.
     
  • 이경 (2020. 06. 19). 한국방송학회 2020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 : BPEX. 
     
  • 이해수 (2020. 03. 20). 한국방송학회 "코로나 19(COVID-19)와 재난커뮤니케이션" 학문후속세대 웨비나(Webinar).
     
  • 이모란 (2020. 03. 20). <가짜뉴스와 루머 : COVID-19 사례연구>. 한국방송학회 "코로나 19(COVID-19)와 재난커뮤니케이션" 학문후속세대 웨비나(Webinar).

2019 논문

  • 이해수·곽은아 (2019.10). 범퍼애드(Bumper AD)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: 맥락 일치/불일치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. <한국광고홍보학보>, 21권 4호, 199-235.
     
  • 우박영·류웅재 (2019). 관찰형 리얼리티 TV프로그램이 재현하는 리얼리티 특성에 관한 연구 - 중국 호남 TV의 <동경하는 생활>(<同往的生活>)을 중심으로. <영상문화콘텐츠연구>, 18호, 269-303.
     
  • 한석희 (2019.09). Analyzing Sport Documentary Online - Focus on All or Nothing : Manchester City on Prime Video.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, 8권 3호, 20-26.
     
  • 한석희 (2019.09). 스포츠 게임의 스토리텔링 연구 : FIFA 19를 중심으로. <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>, 32권 3호, 1-10.
     
  • 박희봉 (2019.08). 공영방송 사장해임을 둘러싼 법적 쟁점과 제언. <언론과 법>, 18권 2호, 117-159.  
     
  • 한석희 (2019.06). Exploring Charity Drive Content on YouTube : Focus on Shoot for Love. 8권 2호, 88-93.
     
  • 한석희 (2019.06). 애완동물 관련 YouTube 채널 콘텐츠 분석 : 크림 히어로즈를 중심으로. <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>, 19권 3호, 33-39.
     
  • 한석희 (2019.06). 엔터테인먼트 OTT 구조와 콘텐츠의 분석 : WWE Network를 중심으로. <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>, 19권 3호, 41-51.
     
  • 최진호·이해수·진은형 (2019.06). 4차 산업혁명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 활용 토픽 분석 : 언론사 유형 및 주요시기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. <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>, 36권 2호, 173-219.
     
  • 곽은아·최진호 (2019.06). OTT 서비스 속성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사업자 경쟁관계 분석. <방송과 커뮤니케이션>, 20권 2호, 121-169. 손홍석·황상재 (2019.05). EBS 해외진출 확산 전략의 방향성 모색. <디지털융복합연구>, 17권 5호, 333-346.
     
  • 박희봉 (2019.05). 지상파 방송사와 콘텐츠 스타트업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 : 'KBS LABS'를 중심으로. <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>, 19권 5호, 644-675.
     
  • 황현이·류웅재 (2019.04). 기업 사회공헌의 소외계층 담론 : 삼성 단편영화 '별리섬'의 시선과 문화 정치적 함의. <사회과학연구논총>, 35권 1호, 187-223.
     
  • 정가은 (2019.04). 환경에 대한 사전 태도와 메시지 소구 유형이 환경보호 캠페인에 미치는 영향. <한국광고홍보학보>, 21권 2호, 5-29.
     
  • 이해수·곽은아·한동섭 (2019.03). 빅데이터 기반 AI 리타겟팅 광고(Retargeting Advertising)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. <광고연구>, 120호, 80-111. 
     
  • 전혜미·박만수·한동섭 (2019.03). AI와 AR 기술 기반 웹툰의 서사 전달 구조 분석. <한국방송학보>, 33권 2호, 217-245.
     
  • 안정임·김양은·전경란·최진호 (2019.03).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인식의 전문가 집단 간 동질성과 차별성. <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>, 36권 1호, 49-87.
     
  • 한석희 (2019.03). Exploring Game-related Documentary : Focus on "Tekken Hot War". <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>, 32권 1호, 39-50.
     
  • 김은재·황상재 (2019.02).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정보원 유형과 경제적 대가 표시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: 유튜브(YouTube) 플랫폼을 중심으로. <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>, 20권 2호, 297-306.
     
  • 정가은 (2019.01). 온라인 혐오표현 게시글의 제3자 효과 지각이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. <사회과학연구>, 30권 1호, 271-286. 

2019 발표

  • 조예청·이해수 (2019.11.23). <온라인 동영상 광고의 강제노출과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: 지각된 침입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경기 :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.
     
  • 이모란·이해수 (2019.11.22). <기업의 부정적 메시지가 공중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>. 한국미디어경영학회 2019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센터포인트 광화문 빌딩.
     
  • 박희봉·한동섭 (2019.11.9). <한국의 공영방송연구 30년: 1988년~2019년 국내 17개 학술지 메타분석을 중심으로>. 한국방송학회 2019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한양대학교.
     
  • 김천웅·박만수 (2019.11.9). <중국 미디어 산업의 상업화와 주류 이데올로기 상품화: 오늘날 중국 젊은이들은 왜 애국주의를 소비하는가>. 한국방송학회 2019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한양대학교.
     
  • 박재상 (2019.11.9). <쌍용자동차 사태와 한국 언론의 정권별 보도태도 분석: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>. 한국방송학회 2019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한양대학교.
     
  • 이해수·곽은아 (2019.05.31). <범퍼 애드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: 맥락일치/불일치간의 비교를 중심으로>. 한국미디어경영학회·한국정보사회학회 2019 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고려대학교.
     
  • 이해수·박만수 (2019.05.17). <소비자 개인적 특성에 따른 VR(Virtual Reality)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봄철 정기학술대회. 여수 : 앰블호텔.
     
  • 박만수·김천웅·한동섭 (2019.04.26). <4차 산업혁명 시대, 구글(Google)의 사업다각화 전략 분석>. 한국방송학회 2019 봄철 정기학술대회. 제주 : 제주대학교.

2018 논문

  • 김하늘·이해수·박만수 (2018.12). 한국 MCN(Multi Channel Network) 기업들에 대한 연구 : 자원기반 이론과 SWOT 분석을 중심으로. <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>, 35권 4호, 103-143.
     
  • 한석희 (2018.12). Analysis of Game Documentary - Focused on Indie Game : The Movie. <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>, 31권 4호, 37-50.
     
  • 박만수·이승제·정의준 (2018.08). FPS 게임의 시나리오 인지와 사운드가 실재감과 재미에 미치는 영향. <정보사회와 미디어>, 19권 2호, 121-147.
     
  • 박만수·김천웅·한동섭 (2018.08). VR(Virtual Reality) 게임의 놀이적 특성 분석 : 하위징아와 카이저의 놀이 이론을 중심으로. <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>, 18권 8호, 148-156.
     
  • 이재진·진승현 (2018.04). 공인에 대한 언론사와 언론인의 인식 연구. <언론과 법>, 17권 1호, 1-50.
     
  • 안정임·김양은·전경란·최진호 (2018.04). 지능정보사회 미디어교육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우선순위 인식 연구 : 계층분석과정(AHP)을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62권 2호, 7-40.
     
  • 최진호·권호영 (2018.04). 문화콘텐츠산업 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 : 단계별 지원 정책에 대한 델파이 및 계층분석과정을 중심으로. <한국언론정보학보>, 통권 88호, 146-181.
     
  • 한석희 (2018.04). 소셜 카지노의 슬롯 해부하기 : Slotomania를 중심으로. <한국게임학회 논문지>, 18권 2호, 77-88.
     
  • 한석희 (2018.04). 국내에서 제작된 인기 YouTube 채널 분석. <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>, 18권 2호, 11-17.
     
  • 최진호·한동섭 (2018.03). 동북아 원자력 환경위험 커뮤니케이션 : 중국 언론의 원자력발전 보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. Crisisonomy, 14권 3호, 15-30.
     
  • 심흥식·이영희·박현아·남인용 (2018.03). 청와대 대변인실의 소통 방식에 대한 연구 : 주요국 정부 대변인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. <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>, 통권 48호, 37-78.
     
  • 한석희 (2018.03). Gender Analysis of Disney Characters in Video Game : Focus on Disney Magical Dice. <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>, 31권 1호, 1-10.
     
  • 한석희 (2018.02). 오버워치 루트 박스 시스템 분석. <한국게임학회 논문지>, 18권 1호, 95-104.
     
  • 박현아·이재진 (2018.01). 온라인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규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. <방송통신연구>, 통권 101호, 123-152.
     
  • 이희준·김지원·이해수·이욱진 (2018.01). 브랜드 웹툰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: 내용 분석을 통한 선행 요인의 고찰. <한국광고홍보학보>, 20권 1호, 5-57.  

2018 발표

  • 곽은아·최진호 (2018.12.14). 한국미디어경영학회 2018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대한상공회의소.
     
  • 최진호·이해수·진은형 (2018.11.30). <4차 산업혁명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 활용 토픽분석 : 언론사 유형 및 주요 시기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>.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고려대학교

2017 논문

  • 한석희 (2017.12). 게임에서의 유리천장 : 포켓몬 시리즈의 불평등 성 지위. <한국게임학회 논문지>, 17권 6호, 173-188.
     
  • 이다혜·류웅재 (2017.11). 청년세대의 연애상담 리얼리티 텔레비전수용에 관한 연구 - <마녀사냥>과 <김제동의 톡투유-걱정 말아요 그대>를 중심으로. <우리춤과 과학기술>, 통권 39호, 87-122.
     
  • 이영희·이재진 (2017.11). 문화·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장애인차별금지법 비교 연구 : 영화접근권을 중심으로. <한국소통학보>, 16권 4호, 255-285.
     
  • 홍성현·황상재 (2017.10). 웹 드라마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. <방송통신연구>, 통권 100호, 35-69.
     
  • 박만수·한동섭 (2017.09). VR(Virtual Reality) 저널리즘의 영상텍스트 분석 : 뉴욕타임즈의 <난민(THE DISPLACED)>를 중심으로. <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>, 17권 9호, 173-183.
     
  • 박현아 (2017.08). 온라인게임 공간의 명예훼손 및 모욕죄에 대한 고찰. <문화정책논총>, 31권 2호, 192-215.
     
  • 한석희 (2017.08). 음모론 혹은 토론의 장으로써의 인터넷 방송 : Afreeca TV의 망치부인을 중심으로. <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>, 17권 4호, 61-70.
     
  • 한석희 (2017.08). 포커 게임에서의 인공지능의 현실과 문제점 : 텍사스홀덤(Texas Hold’em)을 중심으로. <한국게임학회>, 17권 4호, 101-108.
     
  • 최재성 (2017.08). 광고의 현실구성 참여와 의미화실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: TV광고가 다루는 오늘날의 아빠상을 사례로. <광고학연구>, 28권 6호, 103-134.
     
  • 진승현·이영희·박성순·이재진 (2017.04). 장애인방송 공익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이용자 인식 연구. <언론과 법>, 16권 1호, 133-174.
     
  • 한석희 (2017.04). Afreeca TV의 인기 채널 특징 탐구. <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>, 17권 2호, 33-38.
     
  • 장소연·류웅재 (2017.03). 온라인 커뮤니티와 혐오의 문화정치 : 일간베스트저장소와 메갈리아의 사례를 중심으로. <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>, 16권 1호, 45-85.
     
  • 양려송·류웅재 (2017.02). 한국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: MBC의 <나는 가수다>와 tvN의 <꽃보다 누나>를 중심으로. <우리춤과 과학기술>, 13권 1호, 109-145.
     
  • 최진호·박진우·손동영 (2017.01). 소셜미디어와 뉴스 인식 : 인지된 네트워크 구조가 뉴스 신뢰도와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. <한국방송학보>, 31권 1호, 184-219. [한국방송학회 제16회 학술상(연구논문 부문) 수상]

2017 발표

  • 송종현·이영희 (2017.11.11). <장애인방송의 질적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>. 2017 한국방송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 방송법제 세션. 서울 : 한국외국어대학교.
     
  • 최은경·진승현 (2017.11.11). <방송의 공적 거버넌스 모델 탐구: 장애인방송 정책결정과정을 중심으로>. 2017 한국방송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 방송법제 세션. 서울 : 한국외국어대학교.
     
  • 이도은 (2017.11.03). <인플루언서 정보원 유형이 페이스북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: 인지 네트워크의 중심성, 동질성, 네트워크의 크기의 조절효과>. 2017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대학원생 패널1. 서울 : 건국대학교.
     
  • 이영희 (2017.10.28). <시청각장애인과 장애인차별금지법>. 한국소통학회 2017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한국사회 소통문제의 진단과 해법 세션. 성남 : 차바이오컴플렉스.
     
  • 이재진·진승현 (2017.10.21). <공인에 대한 언론인의 인식연구>. 한국언론학회 2017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언론법제윤리 세션. 서울 : 중앙대학교.
     
  • 이영희 (2017.10.21). <장애인 방송의 제작 지침에 관한 연구>. 한국언론학회 2017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언론법제윤리 세션. 서울 : 중앙대학교.
     
  • 김하늘 (2017.08.17). <신-한류 담론의 지형변화에 대한 논의 : 차이나 머니와 문화융성 정책을 중심으로>. 제15회 문화연구캠프 지역/글로벌/정체성 세션. 서울 : 한국외국어대학교.
     
  • 배유진 (2017.08.17). <진화된 여성혐오에 대한 텍스트분석: 강남역 살인사건을 중심으로>. 제15회 문화연구캠프 페미니즘 세션. 서울 : 한국외국어대학교.
     
  • 김다원 (2017.05.12). <국내 엔터테인먼트 사업 다각화 비교분석 : SM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 중심으로>. 한국미디어경영학회·한국정보사회학회 2017 봄철 정기학술대회 대학원생 세션. 서울 : 대한상공회의소.

2016 논문

  • 한석희 (2016.12). YouTube User "대도서관"의 게임 시연 목록 분석, <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>. 29권 4호, 57-68.
     
  • 박현아·이재진 (2016.10). 게임중독 규제법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: 보건복지부의 정신건강종합대책에 대한 헌법적 판단을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60권 5호, 7-33.
     
  • 한석희 (2016.10). 대전액션게임에서 나타나는 여성 캐릭터들의 지위 분석 : EVO 2016을 중심으로, <한국게임학회 논문지>. 16권 5호, 79-88.
     
  • 한석희 (2016.08).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의 특징과 비교 : Twitch TV를 중심으로. <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>, 16권 4호, 7-14.
     
  • 이다혜·류웅재 (2016.08). 청년세대의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 : '쿡방'과 '집방'을 중심으로. <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>, 15권 2호, 181-221.
     
  • 최진호·이재진 (2016.08). 선거보도 심의 및 심의기구에 대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: 2004년 이후 대선 및 총선 보도에 대한 중복심의 논의를 중심으로. <언론과 법>, 15권 2호, 1-35.
     
  • 곽은아·최진호·한동섭 (2016.08).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위험이슈 노출과 사회자본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. <한국언론정보학보>, 통권 78호, 7-34.
     
  • 한석희 (2016.06). 온게임넷 TV 프로그램 "켠김에 왕까지" 구조 분석. <한국게임학회 논문지>, 16권 3호, 45-54.
     
  • 최진호·곽은아·한동섭 (2016.06). 전국언론과 지역언론의 취재원 활용 관행 비교 연구. <언론과학연구>, 16권 2호, 214-241.
     
  • 박현아·이재진 (2016.04). 온라인 MMORPG 약관의 아이템 현금거래 금지 조항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연구. <언론과 법>, 15권 1호, 143-181.
     
  • 류웅재·최진호 (2016.02).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과 한국 사회의 위기 징후 : 교황 방한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. <한국언론학보>, 60권 1호, 133-164.
     
  • 동세호·김성용·안호림 (2016.01).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소송의 경향과 특성. <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>, 16권 1호, 370-381.

2016 발표

  • 이영희·박성순·진승현·이재진 (2016.10.15). <해외 장애인방송 제작 가이드라인과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: 영국, 미국, 프랑스를 중심으로>. 한국언론학회 2016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언론법제윤리 분과. 서울 : 한신대학교.
     
  • 장소연 (2016.08.17). <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와 문화정치 : 온라인 커뮤니티의 혐오 표현을 중심으로>. 제14회 문화연구캠프. 대전 : 우송대학교.
     
  • 김영수·최진호 (2016.06.22). <지역방송발전지원에 대한 평가 및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: 특별법, 지원계획, 조례에 대한 지역방송 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>. 한국지역언론학회 '지역방송의 새로운 패러다임 찾기 : 법적, 제도적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' 2016 지역방송 정책토론회. 서울: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.
     
  • 박현아 (2016.05.21). <게임중독 규제 법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: '정신건강종합대책'의 헌법적 판단을 중심으로>. 한국언론학회 2016 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이화여자대학교.
     
  • 이재진·진승현·이영희 (2016.05.21). <뉴스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공인에 대한 언론의 인식 연구>. 한국언론학회 2016 봄철 정기학술대회. 서울 : 이화여자대학교.
     
  • 이재진·최진호 (2016.04.15). <선거보도심의 및 심의기구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>. 한국언론법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언론법제·정책 분과. 대전 : 충남대학교.
     
  • 김영수·최진호 (2016.02.22). <방송통신 융합 환경 시대, 지역 지상파 방송 어디로 가야하나?>. 한국언론학회 '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지역 공익성 구현 방안' 특별 세미나. 서울 : 한국프레스센터.
     
  • 권혜인 (2016.02.18). 를 통한 교류의 범위와 이용특성이 사회신뢰에 미치는 영향>. 제20회 한국언론학회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서울 : 경희대학교.
     
  • 장소연 (2016.02.18). <분노와 혐오 표출의 사회: 신자유주의 시대의 청년 세대는 왜 분노하고 혐오하는가>. 제20회 한국언론학회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서울 : 경희대학교.
     
  • 이다혜 (2016.02.18). <삼포세대의 쿡방 수용에 관한 연구>. 제20회 한국언론학회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서울 : 경희대학교.
     
  • 박솔 (2016.02.18). <온라인저널리즘의 선정성에 관한 고찰: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심의결정현황을 바탕으로>. 제20회 한국언론학회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서울 : 경희대학교.
     
  • 김진 (2016.02.18). <복합적 미디어 이용유형에 따른 OTT(Over-The-Top) 서비스 이용과 만족에 관한 연구>. 제20회 한국언론학회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서울 : 경희대학교.
     
  • 정삼희 (2016.02.18) <디지털 환경에서의 뉴스저작권 침해에 대한 사례 및 전문가 인식 연구>. 제20회 한국언론학회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. 서울 : 경희대학교.

2015 논문

  • 한석희 (2015.12). Analyzing How and Why Video Gamers Watch Game-related Media Online: Focus on Tekken 7. <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>, 28권 4호, 99-111.
     
  • 김영수·최진호 (2015.12). 지역방송발전지원계획에 대한 지역방송 종사자의 우선순위 인식 연구: 지역방송발전지원 특별법의 주요 정책사항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59권 6호, 446-474.
     
  • 이정기·금현수·이나연·최진호·김영수 (2015.12). 대학생들의 지역신문 이용과 평가를 통한 지역신문 개선 방향의 탐색 : 부산지역 대학생들에 대한 서면인터뷰를 중심으로. <언론과학연구>, 15권 4호, 307-348.
     
  • 이재진·박성순 (2015.09). 언론법제 연구의 어제와 오늘 : <언론중재>지 30년의 분석을 중심으로. <커뮤니케이션이론>, 11권 3호, 213-260.
     
  • 이정기·김영수·최진호·금현수·상윤모·강경수 (2015.08).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지역방송에 대한 평가에 따른 지역방송 발전전략의 모색 : 서면인터뷰를 중심으로. <언론학연구>, 19권 3호, 71-101.
     
  • 김지혜·황상재·손동영 (2015.07). 기업의 위기 이력이 공중의 책임 지각과 대응 메시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: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 <한국광고홍보학보>, 17권 3호, 33-64.
     
  • 이영희·진승현·정삼희·이재진 (2015.06).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방송 편성의 개선방안 연구 : 지상파 3사의 편성 현황 비교분석을 중심으로. <방송과 커뮤니케이션>, 16권 2호, 37-83.
     
  • 이재진·동세호 (2015.04). 방송 관련 초상권 침해 소송에서 나타난 ‘동의’의 적용 법리에 대한 연구. <언론과 법>, 14권 1호, 101-148.
     
  • 이화행·정성호·강경수·최진호·이정기 (2015.03).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? : 정권, 미디어 유형, 개별 언론사별 통일보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 29권 2호, 220-259.
     
  • 박진우·김지혜·강예나 (2015.02). 정량적 조사방법 기반 PR연구의 경향과 과제. <홍보학연구>, 19권 1호, 243-269.
     
  • 이재진·최진호 (2015.02). 언론사 간 명예훼손 소송에서 나타난 법원의 언론비평 및 언론사의 지위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 연구. <언론과 사회>, 24권 1호, 96-138.
     
  • 이화행·정성호·강경수·최진호·이정기 (2015.02). 통일보도, 평가, 사회심리적 변인이 통일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: 통일세금 납부의도, 통일지지 정당 및 후보에 대한 투표의도를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59권 1호, 62-89.
     
  • 이재진·이영희 (2015.02). 매체이용자로서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서비스의 법제도적 현실과 개선점. <미디어 경제와 문화>, 13권 1호, 54-100.

2015 발표

  • 이다혜 (2015.08.18). 연애가 소비되는 시대에서 토크쇼의 연애 상담 방식 비교연구 : JTBC <마녀사냥>, <김제동의 톡투유 - 걱정말아요 그대>를 중심으로. 제13회 한국언론학회 문화연구캠프. 서울 : 서강대학교.
     
  • 김지혜·황상재·손동영 (2015.05.15). 기업의 위기 이력이 책임 지각과 대응 메시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. 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 : 파라다이스호텔.
     
  • 정지영·손동영 (2015.05.15). SNS 기부 캠페인 반응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: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 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 : 파라다이스호텔.
     
  • 박진우·한동섭 (2015.05.15).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언론보도와 사회적 파급 효과. 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 : 파라다이스호텔.
     
  • 임종수·박성순 (2015.04.25). 저널리즘 작동원리로서 저널리스트 윤리의 철학. 한국방송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. 부산 : 동명대학교.
     
  • 정지영 (2015.02.09). SNS 상의 기부 캠페인 정보공유와 참여동기가 기부 캠페인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: 페이스북의 사회자본(교량형/결속형)을 중심으로 한 신뢰성과 상호호혜성. 제19회 한국언론학회 대학원생 컨퍼런스. 대전 : 라온컨벤션호텔.

2014 논문

  • 윤수진·손동영 (2014.12). 사회적 익명성이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공동체 신뢰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: 인지된 동질성(perceived homophily)과 공감경험(empathy)을 중심으로. <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>, 31권 4호, 189-226.
     
  • 이정기·최진호·김성용·이유진 (2014.12). 여성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: 20대 여성 대학(원)생 이용자의 지속적 커뮤니티 이용의도, 페미니즘 성향을 중심으로. <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>, 9권 3호, 105-136.
     
  • 이영희 (2014.12). 화면해설 텍스트의 비교연구 : 한국과 영국의 화면해설 텍스트 분석. <시각장애연구>, 30권 4호, 19-44.
     
  • 윤연주·류웅재 (2014.11). 지역 문화콘텐츠산업의 정치경제학 :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을 중심으로. <우리춤과 과학기술>, 10권 4호, 157-198.
     
  • 임종수·박성순 (2014.10). 정부조직의 온라인 미디어화 연구 : 운영주체, 콘텐츠, 이용자 특성을 중심으로. <방송통신연구>, 통권 88호, 47-77.
     
  • 이은아·류웅재 (2014.08). 멘토 권하는 사회 : 신자유주의 시대, 멘토는 어떻게 생산되는가?. <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>, 통권 24호, 141-179.
     
  • 박진우·한동섭 (2014.06).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 프레임 분석. <언론과학연구>, 14권 2호, 31-74.